기후 변화의 두가지 영향 분석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기후변화가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1. 기후변화의 두가지 영향

 

기후변화란 두 가지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Global Climate Change(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온도, 강수))를 뜻하고 두 번째는 Global warning:지구 온난화(전지구적인기온의 상승)를 말합니다.

 

기후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그래프로 하키스트 그래프를 살펴볼 수가 있으며 하키스트 그래프는 과거 1000년 전부터 현재까지 지구 평균온도를 복원한 그래프로 이 그래프를 참고 해볼 때 최근 지구의 기후온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볼수있다.

 

하지만 과거의 온도의 변화를 복원하는 것으로는 나이테의 간격, 퇴적물, 퇴적층, 얼음 안에 들어있는 미생물들이나 기포 등으로 복원이 가능하지만 정확히 측정하기가 힘들므로 오차의 정도가 있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이렇듯 최근 지구의 온도가 증가하는데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요소로는 첫 번째 태양 두 번째 대기(전 지구적으로 온도를 분배 및 태양에너지 흡수 반사)세 번째 해양(에너지를 저장 및 해류로 이동)입니다.

 

지금의 기후변화로 미래에 빙하기가 오게 되는 가설로는 자연적인 빙하기(해류의 컨베이어 벨트가 깨짐으로 인해 빙하기가 오는 것),인간의 활동에 의한 빙하기(들어오는 태양에너지를 막아버림으로 인해 빙하기가 오는 것) 두 가지로 설명이 되고 최근 기후 변화 모델 시스템에서는 지구의 기후가 Co2에 대해서 고민감도라고 가정을 하고 만들고 있습니다.

 

고민감도란 성층권에 에어로졸(태양에너지를 막는 역할)20년간 주입을 하고 하지 않았을 때 지표면온도는 급격히 떨어 졌다가 천천히 복원을 하게 됨(고민감도 기후)을 뜻합니다.

 

만약 저 민감도 기후라고 하면 온도가 많이 안 떨어 질 뿐만 아니라 회복도 빠르게 됩니다.

 

2. 기후변화를 발생시키는 두가지 요소

기후의 변화를 일으키는 요소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CO2,태양의 에너지원, 화산활동과 운석충돌들에 의한 에어로졸(태양에너지 차단 역할),orbital parameter인 자연적인 요소와 GreenHouse gases,Aerosols,land change의 인간 활동에 의한 요소로 살펴볼 수가 있다.

 

먼저 자연적인 요소의 특징은 장시간적으로 변화가 진행되며 종류로는 orbital parameter, 태양에너지, 에어로졸이 있으며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orbital parameter은지구의 세차운동을 할 때 각각의 요소들이 몇 십 만년 주기로 바뀔 때 그에 인한 기후변화이며 태양에너지는 11년 주기의 흑점활동(흑점의 활동이 많아질수록 태양에너지 증가) 마지막으로 에어로졸은 화산활동과 운석충돌들에 의한 에어로졸(태양에너지 차단 역할) 으로 인해 지구의 기후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두 번째 인간 활동의 인한 요소의 특징은 단시간적으로 지구의 기후에 영향을 끼치며 종류로는 GreenHouse gases,Aerosols,land change,Aerosols가 있습니다.

 

GreenHouse gases는 이산화탄소, 메탄, 질소산화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온실기체에 인한 온실효과(지구가 내뿜는 에너지를 우주로 내뿜지 않고 대기가 흡수해서 다시 지구로 보내는 현상)로 기후에 영향을 끼칩니다.

 

두 번째 Aerosols는 인간 활동에 의한 에어로졸로 인해 태양에너지 차단, 많은 구름을 만드는 역할(응결핵)에 의해 태양에너지 반사(지구의 표면에너지를 감소)(태양에너지를 흡수하여 구름을 없애는 역할, 지표면온도 증가)등 다양하게 기후에 영향을 줍니다.

 

이러한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의해서 지구는 온도상승에 인한 해양의 부피가 증가 하고 해수면의 고도 증가, 해빙과 육빙의 녹음 여름철 북극 해빙면적의 급격한 감소할 뿐만 아니라 해양 성층부의 열용량 증가와 전 지구 평균 해수면의 고도 상승(과거보다 15~20cm증가)이 발생하였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